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어떻게 해야 싸게 사는 것일까?

by 경자유 2023. 12. 25.
반응형

주식이나 부동산을 싸게 사는 것은, 그만큼 안전마진을 확보한다는 뜻이다.

 

우리가 흔하게 얘기하기로는 '더 이상 떨어질 곳이 없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 것은 반대로 얘기하면 오를 확률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식으로 예를 들면, PBR이 가장 낮을 시점에 사면 잃지 않는 투자를 해나갈 수 있다.

 

아래는, 네이버에서 삼성전자 주식을 검색했을 때 볼 수 있는 PBR 차트인데, PBR이 지난 4년간 1.1배 이하로는 잘 내려가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삼성전자의 PBR 차트 @ 네이버

 이 때 PBR은 회사의 장부가액 대비 시가총액의 비율을 나타낸다. 쉽게 얘기하면 삼성전자의 순자산 대비해서 몇 배로 거래가 되느냐인데, 이 비율은 항상 어느정도의 범위를 두고서 움직이기 때문에, PBR 1.1정도로 주가가 내려오면 '더 이상 떨어지기는 어려운 구간'이라는 점을 기대해볼 수 있다.

 

단! 장기적으로 10년, 20년 PBR그래프로 보면 PBR은 0.8배정도까지도 내려갔던 적이 있다.

하지만 설령 PBR 0.8 배까지 내려가도라도, PBR 1.1배정도까지 내려온 상태에서 매수했다면 27% 정도 내려갈 여지는 있지만, PBR 2.1배까지 올랐던 때를 감안하면 상방은 + 90% 까지 열려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PBR이 낮을 때 사면, 더 이상 잃기 어려운 투자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부동산으로 예시를 가져와서 보면 어떨까.

 

5년 뒤에는 매수할 잠원동 신반포12차 아파트의 매매, 전세 실거래 그래프이다. (@호갱노노)

 

아파트의 매매가는, 실거주수요인 전세가격보다 떨어질 수 없다. 

매매가는 실거주수요 + 투자수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동산, 특히 아파트 투자에 있어서는 전세가율을 보고 역사적으로 고점 수준으로 근접했을 때 사도 늦지 않다. 

(전세가율 = 전세가 / 매매가 * 100%)

위 예시인 신반포12차도 보면 역사상 최고점의 전세가율에 샀었으면 그 이후로는 다 아는 것 처럼 가격이 더 떨어지지는 않았다. 

 

 

즉, 주식은 PBR이 가장 낮은 시점에, 부동산은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시점에 사면, 최소한 잃지 않는 투자의 1요소를 갖출 수 있다. 

 

반응형